반응형

bee범한 7

카카오 krafterspace를 활용해 곤충 nft 만들어 보기

블록체인 기술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서 nft를 적용한 미술작품이나 게임 등 활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최근 카카오에서 nft를 발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소개합니다. 소개를 위해 곤충과 관련된 nft 작업물을 발행해보며 있었던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서비스 홈페이지는 https://www.krafter.space/ko/explore 입니다. KrafterSpace www.krafter.space 21.12.13 기준 beta 서비스 운영중입니다. 개인에게 하루에 10개의 nft발행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올리고 싶은 작품이 많은 분들은 서두르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양봉 관련 블로그를 글을 게시하며 벌을 형상화한 nft를 발행해봤습니다. 움직이는 gif 파일이 아니라 일반적인..

bee범한 2021.12.13

천적곤충,화분곤충으로 활용되는 꽃등에 특징

꽃등에는 꿀벌을 닮았지만 파리와 가까운 곤충이다. 꽃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고 외형적인 모습도 꿀벌과 비슷해 오해를 만든다. 오해가 생기는 이유는 꽃등에가 위험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해 꿀벌의 모습으로 의태하였기때문이다. 꽃등에 서식지 꽃등에는 일반적으로 남극과 같은 극한의 환경을 제외하고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꽃등에 종류 꽃등에는 200 속 6000여 종의로 분류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종으로는 꽃등에, 호리꽃등에, 수중다리꽃등에, 대모꽃등에, 장수말벌집대모꽃등에, 왕꽃등에가 있다. 추가적으로 꽃등에의 종을 알아보면, 가로무늬꽃등에 가는줄납작꽃등에 검정넓적꽃등에 검정대모꽃등에 개미꽃등에 꼬마꽃등에 유리꽃등에 왕꽃등에 좀개미꽃등에 줄꽃등에 꽃등에 생장 주기 일반적으로 알 -> ..

bee범한 2021.11.29

나비와 나방은 사실 똑같다? Lepidoptera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나비목(Lepidoptera) 분류학으로 곤충을 나누어보면, 나비목은 곤충에서 3번째로 큰 규모에 속한다. 그렇다면 나비와 나방은 각각 어떻게 나누어질까? 나비와 나방은 같은 나비목으로 분류학적으로 차이가 없다. 나비목에 속하는 곤충은 날개에 묻어 나오는 가루인 비늘 가루(scale)가 있다. 그리고 입에 있는 관(proboscis)을 가지고 있어 물이나 꿀을 빨아먹을 수 있다. 날개에 비늘가루를 가진다는 나비목의 특징으로 곤충 중에 나비와 나방을 잡았을 때, 손에 묻어 나오는 가루가 있다는 것이 기억 날것입니다. 사실 나비와 나방은 같은 종류로 전체적인 특징은 비슷하다. 하지만 몇몇 특징으로 나비와 나방이 분류되고 있다. 나비와 나방의 분류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나비와 나방을..

bee범한 2021.11.25

영어단어로 알아보는 밀원식물, nectar, honey, sap

익숙하지 않은 단어 밀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식물은 꽃꿀과 꽃가루를 생산하고 곤충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식물이 꽃꿀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꿀을 생산하는 식물을 밀원식물이라고 하며, 꽃가루를 생산하는 식물은 화분원 식물이라고 한다. 그럼 꽃꿀은 무엇인가? 흔히 알고 있는 꿀은 honey라고 하는데 꽃꿀은 꿀이 되기 전 원료 상태라고 생각하면 이해해 도움이 된다. 꽃꿀이 바로 nectar로 과즙과 같은 달콤한 액체를 표현한다. 결과적으로 벌이 생산하는 꿀(honey)은 꽃꿀(nectar)을 통해 만들어진다. : 벌은 단물(nectar)을 섭취하고 단물이 벌의 여러 가지 효소와 만나 꿀(honey)이 만들어진다. 밀원식물과 화분원식물 밀원식물과 화분원식물을 합쳐 보통 양봉식물이라고 부르거나..

bee범한 2021.11.22

산성과 염기성으로 알아보는 곤충의 독(꿀벌, 말벌)

산성과 염기성 보통 신맛이 나는 것과 쓴맛이 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산염기의 정의는 아레니우스, 브뢰스테드-로우리, 루이스 이렇게 3가지의 정의가 있습니다. 가장 쉽게 이해하는 법은 종이로 산염기를 확인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그 종이는 리트머스로 산과 염기를 구별하는 지시약을 사용해 산성 용액에서는 빨간색이 나타나고 염기성 용액에서는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이때 이용되는 산염기 단위는 pH(potential of hydrogen) 페하란 수소 이온 지수입니다. pH단위에서 중성은 7.0을 나타내며 순수한 물이 중성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산성은 0~7의 낮은 값을 갖고, 염기성은 7~14의 높은 값을 갖고 있습니다. 산성과 염기성은 중화반응을 통해 중성인 pH=7.0에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원..

bee범한 2021.11.16

광합성으로 알아보는 설탕과 꿀의 특성 분류, 탄소동위원소

설탕과 꿀의 공통점을 생각해보면 달콤하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된다. 한 가지 더 생각해보면, 모두 식물을 통해 얻어진다는 것이다. 꿀은 대부분 알고 있듯이 꽃에서 얻어진다. 하지만 아무 꽃에서나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벌들이 꽃을 통해 그중에서도 꿀을 가진 밀월에서 꿀을 얻게 된다. 그런데 설탕은 공장에서 얻어지는 게 아닌가? 흔히 접할 수 있어 그렇게 떠올릴 수 있지만 사탕수수라는 식물을 통해 원료를 얻게 된다. 설탕과 꿀이 공통적으로 식물을 통해 얻었지만 꽃과 사탕수수라는 차이점이 있다. 같은 식물이지만 눈으로 확인해도 다른 차이가 있는 만큼 분류할 수 있는 특징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식물의 광합성과 관련된 특징을 소개하려고 한다. 광합성이란? 광합성이란, 빛 에너지 흔히는 햇빛을 ..

bee범한 2021.11.11

직접 꿀을 만들자 :: 양봉 기초를 배우는 블로그

직접 꿀을 만들자, 내가 만든 벌꿀 :: bee범한 축산업에 포함되는 양봉은 초기 투자비가 비교적 낮아 귀농에서 많이 고려되는 일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수많은 벌을 키워 꿀을 얻는 일이 정말 쉬운 일인가?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달콤한 꿀을 얻는 수확의 기쁨을 얻기 위한 길을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양봉의 사전적 정의는 “꿀을 얻기 위하여 기르는 벌”, 벌을 잡아둔다는 의미에서 beekeeping이라고 불린다고 생각합니다. 벌도 다른 작물이나 가축과 같이 처음에는 채집을 역사로 시작됩니다. 문자로 기록이 없는 예전부터 벽화 등의 자료를 통해 벌꿀을 채집했다는 것을 유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야생을 벌집을 찾아 벌꿀을 얻는 것이 아닌 직접 벌을 키우면서 양봉이 시작되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때..

bee범한 2021.11.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