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쏘so한/쏘so한 과학 6

빛이 있는 가장 깊은 바다 약광층 트와일라잇 존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이란 빛이 도달하는 가장 깊은 층의 바다로 수심 30m~150m 사이의 층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약광층(弱光層)이라고 합니다. 보통 일반 다이버들이 들어갈 수 있는 한계 수심이 30m 남짓이고 값비싼 잠수정을 이용해도 150m정도의 수심이 아닌 더 깊은 바닷속을 탐사한다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트와일라잇 존은 신비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 SCIENCE / V.Altounian 트와일라잇 존은 다이버들이 접근하기 힘든 만큼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지난 30여년간 100여종의 새로운 물고기를 발견했다고 하니 신비함이 가득한 곳인 것 같습니다. 특히 위에 사진에서 보듯이 트와일라잇 존이라고 할 수 있는 수심 30m 부터 부채뿔산호 서식지로 부채뿔산호..

겨울철 스마트폰 배터리를 관리해야할 이유

겨울철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스마트폰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이유는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원리를 알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를 알고 겨울철 스마트폰을 관리한다면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669992 기본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가운데 분리막이 있습니다. 양극양극의 경우 산소, 금속원자,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양극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음극음극은 카본이 있어 리튬이온을 흡수하고 방출하며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음극에서 전류가..

병맥주와 캔맥주 환경적 비교

요즘 맥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많이들 다양한 맥주에 관심을 가지는데요. 그래서 외국 맥주 맛을 비교하는 정보도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흔히 소개되어있는 맥주들의 종류나 맛이아닌 환경적인 부분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재이용(reutilization)에는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ing)또 재활용에는 에너지 회수(energy recovery), 물질회수(material recovery) 가 있습니다. 여기서 병맥주는 재이용한다면 병이 온전한 상태라면 재사용이 되고, 캔맥주의 경우는 재활용에 속하게 됩니다. 재사용의 경우 말 그대로 별도의 가공없이 그대로 다시 이용하는 것이고 재활용의 경우는 가공을 통해 재료만 이용하는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사용 되는 제품이 환경..

새들의 자기 보호 아이넴센(einemsen)

아이넴센(einemsen) 이란 흔히 몇몇의 조류에서 관찰되는 행동으로 자기 깃털에 개미를 들어가게 하거나 부리로 물어 문지르는 행동을 말합니다. 개미를 이용한 행동으로 영어로는 앤팅(anting)이라고 합니다. 새들이 이러한 아이넴센(einemsen) 행동을 하는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사욕(砂浴), 수욕(水浴)과 함께 위안행동(comfort behaviour)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또한 다른 가설로는 개미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이 곰팡이와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는 이유때문이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조류이외에 아이넴센(einemsen)과 같은 행동을 하는 고슴도치, 들쥐 등의 포유류도 있는데 이러한 행동을 self-anointing, 안팅이라고 합니다.

고카페인 음료 속 타우린(taurine)에 대해

우리나라에서 최근 야근이나 밤을 새며 공부하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고카페인 음료, 에너지 드링크 등의 음료의 인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고카페인 음료나 에너지 드링크를 섭취하다 보면 건강이 걱정이 되는데요. 코카페인 음료나, 에너지 드링크 속에 꼭 들어있는 "타우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우린(taurine) 화학식 : C2H7NO3S 분자량 : 125 타우린 이란? 타우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동물의 조직에 흔히 있는 유기산입니다. 식물의 경우 타우린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동물의 경우 대부분 타우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유류의 경우 이자에서 생성되어 쓸개즙의 성분이 되며, 심장, 뇌, 간 등 주요 장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타우린의 약리작용 타우린의 약리작용으로는 담즙의 분비를 촉..

모기약의 화학성분 알아보기

많은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곤충을 뽑으라고 하면 모기를 뽑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모기가 많은 여름은 모기퇴치제, 모기 기피제, 모기가 싫어하는 향, 소리 등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하여 모기와 싸우는데요. 이 중 단연 필수품은 모기에 물였을 때 바르는 모기약이라고 생각합니다. 모기약에는 이렇게 다양한 화학약품이 이용되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성분인 디펜히드라민, 디부카인염산염, 글리시레틴산, L-멘톨, DL-캄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디히드라민펜 디펜히드민의 화학식은 C17H21NO 입니다. 디펜히드민의 경우 1세대 항히스타민제로써 오랜기간 사용된 알레르기 치료제입니다. 또한 디펜히드민은 원래의항히스타민제로써의 효과외에도 진정작용을 시켜주기 때문에 수면 유도제로도 이용된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