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1

산성과 염기성으로 알아보는 곤충의 독(꿀벌, 말벌)

산성과 염기성 보통 신맛이 나는 것과 쓴맛이 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산염기의 정의는 아레니우스, 브뢰스테드-로우리, 루이스 이렇게 3가지의 정의가 있습니다. 가장 쉽게 이해하는 법은 종이로 산염기를 확인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그 종이는 리트머스로 산과 염기를 구별하는 지시약을 사용해 산성 용액에서는 빨간색이 나타나고 염기성 용액에서는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이때 이용되는 산염기 단위는 pH(potential of hydrogen) 페하란 수소 이온 지수입니다. pH단위에서 중성은 7.0을 나타내며 순수한 물이 중성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산성은 0~7의 낮은 값을 갖고, 염기성은 7~14의 높은 값을 갖고 있습니다. 산성과 염기성은 중화반응을 통해 중성인 pH=7.0에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원..

bee범한 2021.11.16

광합성으로 알아보는 설탕과 꿀의 특성 분류, 탄소동위원소

설탕과 꿀의 공통점을 생각해보면 달콤하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된다. 한 가지 더 생각해보면, 모두 식물을 통해 얻어진다는 것이다. 꿀은 대부분 알고 있듯이 꽃에서 얻어진다. 하지만 아무 꽃에서나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벌들이 꽃을 통해 그중에서도 꿀을 가진 밀월에서 꿀을 얻게 된다. 그런데 설탕은 공장에서 얻어지는 게 아닌가? 흔히 접할 수 있어 그렇게 떠올릴 수 있지만 사탕수수라는 식물을 통해 원료를 얻게 된다. 설탕과 꿀이 공통적으로 식물을 통해 얻었지만 꽃과 사탕수수라는 차이점이 있다. 같은 식물이지만 눈으로 확인해도 다른 차이가 있는 만큼 분류할 수 있는 특징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식물의 광합성과 관련된 특징을 소개하려고 한다. 광합성이란? 광합성이란, 빛 에너지 흔히는 햇빛을 ..

bee범한 2021.11.11

직접 꿀을 만들자 :: 양봉 기초를 배우는 블로그

직접 꿀을 만들자, 내가 만든 벌꿀 :: bee범한 축산업에 포함되는 양봉은 초기 투자비가 비교적 낮아 귀농에서 많이 고려되는 일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수많은 벌을 키워 꿀을 얻는 일이 정말 쉬운 일인가?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달콤한 꿀을 얻는 수확의 기쁨을 얻기 위한 길을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양봉의 사전적 정의는 “꿀을 얻기 위하여 기르는 벌”, 벌을 잡아둔다는 의미에서 beekeeping이라고 불린다고 생각합니다. 벌도 다른 작물이나 가축과 같이 처음에는 채집을 역사로 시작됩니다. 문자로 기록이 없는 예전부터 벽화 등의 자료를 통해 벌꿀을 채집했다는 것을 유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야생을 벌집을 찾아 벌꿀을 얻는 것이 아닌 직접 벌을 키우면서 양봉이 시작되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때..

bee범한 2021.11.10

피뿌리풀 - 특징 효능

매괴랑독, 서흥처녀꽃, 처녀풀, 처녀꽃, 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피뿌리풀은 다년생초본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피뿌리풀은 주로 추운 지방에 사는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 한라산과 중부지방 황해도 이북에 분포하고있습니다. 피뿌리풀의 어원은 이름 그대로 뿌리가 붉은색을 띄고 있어서 핏빛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다른 식물과는 다른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특이한 뿌리뿐만 아니라 꽃이 아름다운 야생화 중 하나입니다. 출처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사진을 보듯이 분홍색의 꽃이 매력적입니다. 피뿌리풀의 꽃은 주로 6월 ~ 7월에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피뿌리풀의 꽃은 관상용이 되기도 하지만, 줄기의 껍질은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독특한 특징을 가진 뿌리는 약용이나 살충제로도 이용된다고 합니다. 하..

재활용의 변화 업사이클링

환경에 도움이 되는 재활용의 종류 중 최근 업사이클링이 뜨고있습니다.재활용과 업사이클링의 차이점은재활용은 리사이클링(Recycling)과 업사이클링(Upcycling)이라는 것입니다. 리사이클링(Recycling)은 자원의 재활용으로 만약 커피 찌꺼기를 이용하여 방향재로 사용한다면 리사이클링이 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커피 찌꺼기를 이용하여 퇴브를 만든다면 업사이클링(UPcycling)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업사이클링(Upcycling)이란 Upgrade+Recycling 두 단어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말그대로 재활용품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리사이클링과 업사이클링 모두 자원을 다시한번 이용하여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업사이클링의 경우는 최근 현수막으로 에코..

폐로 숨쉬는 물고기 폐어

폐어를 이름의 뜻을 살펴보면 lung fish , 肺魚로 다른 물고기들과는 호흡에 있어서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아가미 이외에 부레가 호흡기로 발달해 물속에서와 육지에서 호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폐어는 오스트레일리아에 1과 1종, 남아메리카에 1과 1종, 아프리카에 1과 1속 4종으로 총 6종의 종류만 남아있습니다. 그 중 오스트레일리아의 폐어 종만이 완벽한 호흡기관을 유지하고 있고 나머지 5종의 경우는 아가미 구멍을 통해 퇴화한 흔적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http://opencage.info/pics.e/large_11454.asp 폐어가 아가미와 부레를 이용해 호흡하는 이유는 열대지방의 특성상 우기와 건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기의 경우 다른 물고기들 처럼 아가미를 통해 ..

빛이 있는 가장 깊은 바다 약광층 트와일라잇 존

트와일라잇 존(twilight zone)이란 빛이 도달하는 가장 깊은 층의 바다로 수심 30m~150m 사이의 층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약광층(弱光層)이라고 합니다. 보통 일반 다이버들이 들어갈 수 있는 한계 수심이 30m 남짓이고 값비싼 잠수정을 이용해도 150m정도의 수심이 아닌 더 깊은 바닷속을 탐사한다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트와일라잇 존은 신비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 SCIENCE / V.Altounian 트와일라잇 존은 다이버들이 접근하기 힘든 만큼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지난 30여년간 100여종의 새로운 물고기를 발견했다고 하니 신비함이 가득한 곳인 것 같습니다. 특히 위에 사진에서 보듯이 트와일라잇 존이라고 할 수 있는 수심 30m 부터 부채뿔산호 서식지로 부채뿔산호..

봄철 황사예보 및 특보 발령기준과 대비법

봄철 따뜻한 날씨에 외출하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황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황사란? 황사는 주로 중국 북부나 몽솔의 건조한 황토지대에서 작은 모래나 황토, 먼지 등이 하늘을 떠다니다 대기중에서 하늘을 덮으며 날아가 서서히 감하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황사는 마크네슘, 규소, 알루미늄, 철, 칼슘, 칼륨 같은 산화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황사 피해 황사는 인체에 기관지염이나 천식, 안질, 알레르기등 인체에 직접적인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피해도 있지만 가정에서 음식물이나 빨래등에 부착되어 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또한 농작물이나 활엽수의 호흡에 필요한 기공을 막아 생육을 저하시키고 가축에 전염바이러스 전파 요인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특히 황사가 심할 경우 통신시설 전파 방해로 인한 휴대전화..

겨울철 스마트폰 배터리를 관리해야할 이유

겨울철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스마트폰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이유는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원리를 알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를 알고 겨울철 스마트폰을 관리한다면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669992 기본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가운데 분리막이 있습니다. 양극양극의 경우 산소, 금속원자,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양극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음극음극은 카본이 있어 리튬이온을 흡수하고 방출하며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음극에서 전류가..

병맥주와 캔맥주 환경적 비교

요즘 맥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많이들 다양한 맥주에 관심을 가지는데요. 그래서 외국 맥주 맛을 비교하는 정보도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흔히 소개되어있는 맥주들의 종류나 맛이아닌 환경적인 부분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재이용(reutilization)에는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ing)또 재활용에는 에너지 회수(energy recovery), 물질회수(material recovery) 가 있습니다. 여기서 병맥주는 재이용한다면 병이 온전한 상태라면 재사용이 되고, 캔맥주의 경우는 재활용에 속하게 됩니다. 재사용의 경우 말 그대로 별도의 가공없이 그대로 다시 이용하는 것이고 재활용의 경우는 가공을 통해 재료만 이용하는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사용 되는 제품이 환경..

반응형